생명과학 연구원의 평균 연봉이 어느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경력에 따른 연봉 차이도 함께 알고 싶어요. 상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미국 ERI 기준, 생물학자(biologist) 연 평균 ₩71.3 M (범위: ₩49.8 M ~ ₩86.7 M) incruit.com+3jinhakpro.com+3m.kin.naver.com+3glassdoor.com+3erieri.com+3salaryexpert.com+3
SalaryExpert 기준, 생물의학 연구원(biomedical scientist) 평균 ₩68.7 M, 보너스 포함 약 ₩70.6 M,
고급(8년 이상): ₩85.6 M salaryexpert.com
➡️ 참고: 이 두 자료는 모두 2025년 6월 기준이고, 대한민국 전체 평균 수준입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평균 연봉 ₩60.1 M (범위 ₩32.6 M ~ ₩70.6 M) reddit.com+13saramin.co.kr+13jinhakpro.com+13
8년차 ₩44.8 M jobplanet.co.kr
공기업 연구직 신입 초임은 보통 ₩60 M 내외 en.wikipedia.org+11jinhakpro.com+11glassdoor.com+11
인턴(1년 이하): 월 2.36–2.65 M jinhakpro.com+1m.kin.naver.com+1
국내 중소·벤처 중심 생명공학 분야는 초임 ₩20 M ~ ₩33 M 수준 불과하며,
대기업/제약사 일부 포지션 제외 시 저연봉 고스펙 구조 incruit.com+2ibric.org+2jobplanet.co.kr+2
일부 연구원 커뮤니티에서는 “연 ₩15 M 수준으로 돈을 내고 연구”하는 경우도 있다며,
고 경력(8년 이상): ₩70–85 M 이상 가능
(공공기관보다 기업 고성과자·대형 R&D 연구자 등에서 높음)
국가·공기업 연구소는 안정성과 복지 좋지만 최고 연봉은 중간 수준.
민간·중소기업 연구소는 ‘스펙 대비 낮은 급여’ 문제 많아, 대기업/제약사에서 근무해야 연봉 상승 가능.
학위, 경력연차, 발표 실적, 연구성과에 따라 실질 급여 격차 큼.
선택 시 고려 사항: 안정성 vs 급여 / 공공 vs 기업 / 정규직 vs 계약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