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콜바리 전향하려는데 1톤카고와 2.5톤카고 중에 어떤게 나을까요? 콜바리 전향하려는데 1톤카고와 2.5톤카고 중에 어떤게 나을까요? 수익이라던지 일하는 거라던지

콜바리 전향하려는데 1톤카고와 2.5톤카고 중에 어떤게 나을까요? 수익이라던지 일하는 거라던지 어떤게 좀더 효율적인가 싶네요
좋은 질문 주셨네요
콜바리(용달·당일 화물 중개) 쪽은 차량 톤수 선택이 수익 구조랑 일 강도에 꽤 영향을 줍니다. 제가 실제 화물업 하시는 분들 얘기랑 시장 상황을 정리해서 말씀드릴게요.
---
1톤 카고 (포터, 봉고3 등)
장점
일거리 많음: 이사 짐, 소형 가전, 소규모 물류센터 배송, 당일 화물 등 콜이 많음.
초보 입문에 적합: 운전 부담 적고, 도심 주차·골목길 접근 용이.
유지비 저렴: 차량가격·보험료·유류비·톨비 모두 상대적으로 저렴.
콜어플(카카오T퀵, 전용 화물앱 등)과 연계 용이.
단점
단가 낮음: 평균 건당 3~7만 원대(거리, 짐에 따라 상이).
시간 대비 효율이 2.5톤보단 낮음.
큰 화물은 못 실음 → 거절 많아짐.
---
2.5톤 카고 (올뉴마이티, 메가트럭 소형 등)
장점
운임 단가 높음: 건당 10~20만 원 이상 나오는 경우 많음.
거래처 고정 가능성↑: 물류센터, 도매상 납품, 기업 거래처 등 안정적인 화물이 붙을 가능성 큼.
콜 선택 폭 넓음: 1톤에 비해 수익성 있는 장거리·물량 화물 수주 가능.
단점
차량 가격+번호판 비용 비쌈 (1톤 대비 2배 이상).
보험료·유지비 부담 큼 (기름도 훨씬 더 먹음).
도심 접근성↓: 좁은 골목, 주차 제약 많음.
초보라면 물량+운전 난이도 때문에 적응이 쉽지 않을 수 있음.
---
현실적인 비교
초보/콜바리 위주 → 1톤 추천
→ “일거리 다양 + 유지비 부담 적음 + 빠른 적응”
장기적/거래처 고정 노림수 → 2.5톤 추천
→ “단가 높음 + 안정적 물량 확보 시 유리”
---
정리하면,
콜바리로 빠르게 자리 잡고 싶다 → 1톤
투자금+운전 자신감 있고, 거래처 영업까지 할 의지 있다 → 2.5톤
---
사장님께서는 지금 콜바리 입문이라 하셨으니까,
처음엔 1톤 카고(포터/봉고3) 로 시작 → 경험 쌓고 → 필요하면 2.5톤 확장, 이 루트가 현실적이고 실패 확률 적습니다.
---
사장님은 혹시 콜바리를 단기 경험 후 택배나 고정 거래처 물량 쪽으로 전향도 고려하시나요?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