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은 뭐하는 곳인가요? 전철 시간 맞춘 거를 거의 본 적이 없네요. 이럴거면 애초에
코레일은 뭐하는 곳인가요? 전철 시간 맞춘 거를 거의 본 적이 없네요. 이럴거면 애초에
전철 시간 맞춘 거를 거의 본 적이 없네요. 이럴거면 애초에 맞출 수 있는 현실적인 시간표를 작성하는게 현명하지 않을까요? 만드는 사람은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만드는건지.. 참 한심하네요. 틀린 시간표가 당연한지 코레일 직원들은 부끄럽지도 않고 고객에 대해 미안한 마음 조차 없나봐요. 이러니 개선할 의지도 없겠죠? 어찌됐든 국민들이 불편을 감수하고 굴러는 가니까.그리고 열차 승강장 조성할 때, 열차 길이에 맞추어 최대한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 근처인 출입구 쪽으로 가까이 만드는게 어찌보면 당연한 상식아닐까요? 탑승하는 곳을 한 쪽 귀퉁이에 몰아놓고 도대체 뭐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이용고객 동선은 고려조차 안하나봐요.이런식으로 사업만 벌이고 파생되는 문제점에 대해 해결할 움직임 조차 보이지 않으니까. 하더라도 수 년이 지나도 체감이 안 되니까. 매번 방만경영 소리 듣는 게 아닐까요? 국민 니즈에 맞추어 국가철도 사업하는 것이 코레일 스스로에게 너무 버겁다면, 전국 지역 특색에 맞추어 기관을 분리하는 게 맞는거 같아요. 마치 다른 이들이 그 역할을 못 할거라 착각하는 것 같은데, 실상은 전혀 아닐겁니다.제발 정신 차리세요.

코레일(KORAIL, 한국철도공사)은 대한민국의 국영 철도 회사로, KTX, ITX, 새마을호, 무궁화호 같은 일반 열차뿐만 아니라 수도권 전철(1호선~4호선 일부 구간)과 일부 광역철도를 운영하는 곳이에요.
이용하면서 불편을 많이 겪으신 것 같네요. 열차 시간표가 현실적이지 않다고 느껴지는 건 운행 간격, 배차 지연, 연결 열차 문제 때문일 가능성이 높아요. 특히, 코레일이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은 일반 열차와 화물 열차, 광역철도가 같은 선로를 공유하는 구간이 많아서 조금만 차질이 생겨도 전체 일정이 밀리는 경우가 많죠.
시간표를 짤 때는 이론상으로는 딱 맞게 짤 수 있지만, 현실에서는 승객 승하차 지연, 신호 대기, 차량 고장, 선행 열차 영향 등 변수가 많아서 오차가 생길 수밖에 없어요. 그렇다고 넉넉하게 배차 시간을 잡으면 또 운영 효율성이 떨어지니까, 적당한 균형을 찾기가 쉽지 않죠.
말씀하신 대로 열차가 서는 위치와 출입구 동선이 안 맞는 경우가 많죠. 원래는 설계할 때 동선을 고려해야 하지만, 기존 역사는 공간 제약 때문에 무조건 최적화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특히, 과거에 지어진 역들은 열차 길이가 바뀌면서 생긴 문제도 있고요.
말씀하신 것처럼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지만, 국가 철도망이 일원화되어 있어서 쉽게 개편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에요. 하지만 체계적인 운영 개선과 이용객 편의 증대가 부족한 것도 사실이고요.
불만을 느끼는 만큼, 코레일 고객센터(1544-7788)나 국민신문고 같은 곳에 의견을 전달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어요. 실제로 시민 의견이 반영돼서 개선된 사례도 있거든요. 그래도 당장 큰 변화가 없는 건 답답한 일이긴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