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에어컨 하루 종일 튼것같아요 ㅠㅠ 출근하기전에 분명 에어컨을 끄고 출근 한것같은데 퇴근 하고 집에 와보니깐
출근하기전에 분명 에어컨을 끄고 출근 한것같은데 퇴근 하고 집에 와보니깐 전원키면 들어오는 등도 꺼져있는데 그 열리는곳이 열려있고 위잉 하는 소리가 들리구 있더라구요 ㅠㅠ 근데 소리가 난 거 보니깐 꺼져있는건 아니였던것같은데 13시간정도 그렇게 있었는데 전기세가 얼마정도 나올지 궁금해서요 ㅠㅠ 투룸에 있는 벽걸이 에어컨이예요 ㅠㅠ
안녕하세요^^
아이구... 퇴근하고 집에 들어왔는데 에어컨이 돌아가고 있었던 걸 보면 정말 놀라고 걱정되셨겠어요
특히 13시간 동안 켜져 있었다면 혹시 전기세가 폭탄 맞는 건 아닐까 싶으셨을 텐데요, 계산해보면 다행히 엄청 큰 부담은 아닐 수 있어요! 아래에 쉽게 설명드릴게요.
1. 벽걸이 에어컨의 소비 전력 (일반 기준)
벽걸이형 에어컨의 평균 소비전력은 약 0.8~1.2kWh/h 정도입니다.
(냉방 능력 6평~8평 기준, 인버터 제품일 경우 전력 조절이 되어 더 낮게 나올 수 있어요.)
1시간당 전기요금은 평균 약 130~180원 정도예요.
2. 13시간 동안의 예상 전기요금 계산
가장 일반적인 1kWh/h 소모 기준으로 계산해볼게요.
1시간 150원 × 13시간 = 약 1,950원
▶ 약 2천 원 정도가 추가로 나왔다고 보면 됩니다.
혹시 에어컨이 최대 출력으로 돌아갔다 해도 3천 원 이내일 가능성이 높아요.
하지만 왜 꺼진 줄 알았던 에어컨이 켜져 있었을까요?
다음과 같은 가능성이 있어요:
1. 예약 기능 또는 외부 제어 (스마트 기능)
요즘 에어컨은 스마트폰 앱이나 AI 기능으로 자동 켜짐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도 있어요.
2. 정전 후 자동 복귀 설정
일부 제품은 정전 후 자동으로 다시 작동하는 기능이 있어서, 꺼졌던 게 다시 켜졌을 수 있어요.
3. 리모컨 착오
껐다고 생각했지만 냉방이 아닌 송풍만 꺼진 경우도 있어요.
✅ 앞으로를 위한 팁
- 콘센트를 뽑아두거나, 멀티탭 스위치를 꺼두기
→ 물리적으로 완전히 차단하는 게 가장 확실합니다.
- 인버터 에어컨은 전기요금 절약 효과가 크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지속 운전 중에도 온도가 일정해지면 전력 사용량이 줄어드는 특성이 있어요.
질문자님처럼 깜빡하는 경우는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어요
그래도 다행히 큰 전기요금 부담은 없을 것 같으니 너무 자책하지 마세요.
앞으로는 타이머 기능이나 스마트 제어 앱을 잘 설정해두시면 더 안심하실 수 있을 거예요!
더 자세한 전기세 절약 팁과 에어컨 관리 요령은 아래 블로그를 참고해보시면 정말 유용하실 거예요 image 에어컨 전기세 절약법 총정리: 온도·시간·제습·송풍 꿀팁
에어컨 전기세 절약법 총정리: 온도·시간·제습·송풍 꿀팁1. 에어컨 온도 설정적정 온도는 26~28℃가 전력 효율 면에서 가장 좋습니다. 실외 온도와의 차이를 5℃ 이내로 유지하는 게 핵심입니다.2. 시간대와 사용법오후 2시~5시처럼 전기요금 피크 타임을 피하고, 인버터형이라면 계속 켜두는 것이 절약에 유리합니다. 정속형은 껐다 켰다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3. 송풍 & 제습 모드 활용처음에는 "강풍"으로 실내 온도를 빠르게 낮추고, 이후에는 "약풍" 또는 선풍기, 서큘레이터를 병행해 냉방 효율을 높이세요.4. 제습 기능은 선택적으...
bookcineat.tistory.com image 인버터 에어컨 전기세 절약법 – 실속 있게 시원한 여름 보내는 꿀팁!
인버터 에어컨 전기세 절약법– 실속 있게 시원한 여름 보내는 꿀팁!여름철 필수 가전, 인버터 에어컨! 잘만 쓰면 전기요금 폭탄 걱정 없이 시원하게 보낼 수 있습니다. 아래 팁만 잘 따라도 전기세 절약 효과 확실합니다. 인버터 에어컨 전기세 아끼는 핵심 5가지24~26도 설정: 너무 낮게 설정하면 실외기 과부하로 전기세 상승계속 켜두기: 자주 껐다 켜는 것보다 전력 소모 적음강풍 → 약풍 전환: 처음엔 강하게, 이후엔 유지 모드로선풍기/서큘레이터 함께 사용: 냉방 시간 단축, 효율 UP필터 청소 주기적 관리: 먼지 제거로 에너지 ...
bookcinea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