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LPT N2 이상 현재 고1 학생이고 늦어도 올해 12월에 N2 이상을 목표로 하고
현재 고1 학생이고 늦어도 올해 12월에 N2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번도 일본어 공부를 해본적은 없지만 초등학교부터 각종 일본 애니나 라디오를 접해서 회화는 간단히할 수 있고 단어는 의미 자체는 알고 있어요 다만 한자나 쓰기, 뉴스 표현 등은 전혀 모르는 상태입니다1. 책은 n2만으로도 되는지2. 12월 셤을 목표로 시간이 충분할지3. JLPT에 관한 꿀팁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 한번도 일본어 공부를 해 본 적은 없다 "
기본적인 배경지식이 있는데 내가 왜 " 기초 교재 " 를 통해서 공부해야하느냐?
본인이 알고 계시는 부분이 " 정확한 지식 " 이냐?
" 기본기 " 부터 확립을 잘 시켜놓으셔야 이 뒤에 나오는 " 심화 " 를 소화하실 수 있기 때문에,
기본기부터 확실하게 잡고 가라고 많은 분들이 " 입을 모아 " 그렇게 얘기하는 것이구요.
괜히 JLPT가 " 5가지 " 단계로 나뉘어져 있는 것 또한 아닙니다.
지금 레벨은 아니고 좀 더 상위 레벨 가셔서 하신다거나,
" 유학 " 을 목표로 하는 분이 아니시라면,
일단은 뭐가 되었든 " 기본기 확립 " 부터가 우선입니다.
JLPT로 넘어가서 공부할 때 나름 순조롭게 진도를 뺄 수 있거든요.
" 기본적인 배경지식이 탑재 " 되어 있는 상태라면,
당연히 여기서 아는 단어가 많으면 일반적으로 걸리는 기간보다 " 덜 걸리실 수 " 있겠죠?
당연히 이게 마음 한 구석에 있으니 걸리겠지요.
나중 가셔서 이걸 다시 잡아보겠다고 하면 이미 늦었습니다.
이런 후회를 하지 않으시려면 스타트부터 제대로 된 스타트로 가시되,
" 장기적인 안목 " + " 꾸준한 페이스 " + " 복습 "
이라는 3박자가 고루 갖춰줘야 높은 급수 가셔도 고꾸라지지 않습니다.
우선은 본인이 정말 " 제대로 된 " 일본어 공부를 하실거고,
" 현실적 " 인 접근에 의거한 답이 되겠지요?
N2까지는 " 1년 반 전후 " 로 잡습니다.
올 12월은 최대 N4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되십니다.
3. JLPT에 관한 꿀팁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공부하는데 있어 " 꿀팁 " 이라는 건 없습니다.
힘들게 오랜 시간 걸려서 겨우 터득한 " 노하우 " 를,
누가 고생을 덜 하고 그냥 이런 거 주워 먹으려고 하는 사람한테 알려주겠습니까?
여기 계신 분들 공부 이력만 합하면 진짜 어마어마합니다.
정말 오랜 기간 공들여서 현지에서 생활하시고 공부하시면서 얻은 노하우를
이런 " 노하우 " 를 얻으시려면, 학원이나 전문가한테 배우는 편이 노하우 터득으로 이어지겠구요.
제가 위에서 말씀드렸던 " 3박자 " 가 고루 갖춰져야 합니다.
JLPT를 취득하면 (상위 급수) 회화나 작문은 " 자연스럽게 실력이 상승 " 한다 라는 점인데,
회화와 작문까지 챙겨가시려면 다양한 루트를 활용해서 깊이 공부하셔야 됩니다.
" 회화, 작문 " 은 혼자서 공부하는데에는 당연히 많은 제약이 따릅니다.
작문 또한 " 첨삭 상대 " 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 네이티브 " (제대로 교육을 받은) 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냥 " 장기적인 안목 " 으로 가시는게 롱런할 수 있는 비결이라고 생각되네요.
이걸 어떻게든 안 까먹으려고 아둥바둥 발버둥치려고 해서 어떻게든 기억에 남게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기억력이 좋은 사람이 단어를 잘 외우는 건 물론이고,
한자 또한 모양을 완벽하게 외우는 걸 잘 하면 당연히 취미로 공부하셔도 한자 쓰는 부분까지 되어계시겠죠?
한자는 워낙 진입 장벽이 높다보니 어려워들 하시는게 어찌보면 " 당연 " 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어 같은 경우는 정말 " 하루 할당량 " 정하셔서,
몸에서 " 질린다 " 는 신호를 보낼 때 까지,
본인께서 공부하시다보면 이번 시험은 시기적으로는 안 맞겠다...
이런 것도 잘 설정을 하셔야 합격 가능성이 높아지겠죠?
무턱대고 시험이 다가온다고 시험 접수부터 하는게 아니라,
냉정하게 자기 진도 봤을 때 그거 가지고 판단을 하셔야 된다는 것입니다.
혹여나 언어 센스나 재능이 있으시다면 " 덜 " 걸리실수도 있겠죠~? ^^
기간 설정보다는 본인이 즐기면서 라이트하게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시면서 가시는 편이 낫지 않을까 싶네요.
' 첫 걸음 ' 이라는 타이틀이 붙어있는 기초 교재들 둘러보시고,
" 마음에 드시는 교재 " 고르셔서 공부하시면 되십니다.
(1) 기초 교재 (첫 걸음이라는 타이틀이 붙어있는 교재)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셔서 접근하시는 편이 현명하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