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권자산을 양도하였을 경우 어떠한 세무조정이 발생하나 사용권자산을 양도하였을 경우 어떠한 세무조정이 발생하나요? 그리고 세무조정시 놓칠 수
사용권자산을 양도하였을 경우 어떠한 세무조정이 발생하나요? 그리고 세무조정시 놓칠 수 있는 유의사항은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한국에서 사용권자산(예: 토지사용권, 특허권, 영업권 등)을 양도할 경우 발생하는 세무조정 사항과 유의사항을 다음과 같이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 관련 법규는 「소득세법」, 「법인세법」, 「부가가치세법」 등을 근거로 합니다.
양도가액에서 장부가액(취득가액 - 감가상각 누계액) 을 차감해 양도차익을 계산합니다.
세무조정: 양도차익은 사업소득 또는 양도소득으로 분류되며, 사업용 자산인 경우 법인세 또는 소득세 과세 대상입니다.
비사업용 자산: 양도소득세(분리과세) 적용 가능.
사용권자산 양도는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입니다.
매입세액 공제: 양도인이 과세사업자인 경우, 취득 당시 매입세액을 공제 가능.
양도 전까지의 미상각 잔액은 양도 시점에 일괄 상각 처리합니다.
(양도 시) 차) 현금/예금 [양도가액] 대) 무형자산 [장부가액] 대) 양도차익 [차액]
세무조정: 상각누계액이 장부와 세무신고서 불일치 시 과세소득 증가로 조정.
국내 기업이 외국기관에 사용권을 양도할 경우 원천징수(15%~22%) 적용.
예외: 한·중 조세조약 등 적용 시 감면 가능.
⚠️ 2. 세무조정 시 반드시 확인할 유의사항
해결책: 상각계산서와 양도 시점 장부 대조 필수.
매입세액 공제 실패: 양도인이 취득 당시 세금계산서 미보관 시 공제 불가.
면세 대상 오인: 토지 양도는 면세지만, 지상권 양도는 과세됨을 주의.
시가보다 현저히 낮은 양도 시: 국세청이 시가 기준으로 소득 재조정 가능.
외국기업에 양도 시 조세조약 체결 여부 확인:
지방소득세: 양도차익에 대해 법인세의 10% 추가 부과.
재산세: 토지사용권 양도 시 과세기준일(6.1) 소유 여부 확인.
양도계약서, 상각계산 내역, 취득 당시 세금계산서, 감정평가서(시가 거래 시).
이의신청 → 심사청구 → 행정소송 순으로 진행.
유의: 조정 통보 후 90일 이내 행정소송 제기.
graph LR A[양도계약 체결] --> B{세무조정 요소 확인} B --> C[양도차익 계산] B --> D[부가가치세 과세 여부] B --> E[원천징수 적용 검토] C & D & E --> F[증빙서류 정리] F --> G[세무신고 및 납부]
양도 전 → 시가 대비 공정거래 여부, 상각 잔액 정합성.
양도 후 → 부가가치세 신고 기한(익월 25일), 원천징수 의무 이행.
문의처: 국세청 ☎ 126 또는 홈택스 「민원상담」 → “무형자산 양도” 선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