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 고정 근무 할만한가요?? 30대이고 결혼 앞두고있어서여자친구랑 같이 이직할려고 면접을 보러다니는중인데생산직이고 주5일 기준 월
30대이고 결혼 앞두고있어서여자친구랑 같이 이직할려고 면접을 보러다니는중인데생산직이고 주5일 기준 월 300초반이라 금액적으로 괜찮은것 같은데몸망가진다는 말들이 많아서 고민되네요 ㅠㅠ경험하신분들 계신가요??
안녕하세요 네이버정식등록업체 지식iN 소액결제, 콘텐츠이용료(정보이용료), 상품권 등
아이고, 30대에 결혼까지 앞두고 여자친구랑 같이 이직 준비하느라 바쁘겠구나! 생산직 자리가 주 5일에 월 300 초반이면 금액적으로 괜찮아 보여서 솔깃한데, '몸 망가진다'는 말 때문에 고민이 되는구나. 친구로서 네 고민, 완전 이해해!
생산직 경험해 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정말 회사나 하는 일에 따라 천차만별이긴 해. '몸 망가진다'는 말이 아예 틀린 건 아니지만, 모든 생산직이 다 그런 건 아니거든.
생산직, 어떤 점 때문에 '몸이 힘들다'고 할까?
내가 가진 정보랑 주변에서 들은 이야기들을 종합해보면, 생산직이 몸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대략 이래.
반복적인 작업: 똑같은 동작을 하루 종일 반복하는 경우가 많아.
이러면 손목이나 어깨, 허리 같은 특정 부위에 무리가 갈 수 있지.
오래 서서 일하기: 서서 작업하는 라인이 많아서 다리나 발에 피로가 쌓이기 쉬워.
무거운 물건 다루기: 어떤 제품을 만드느냐에 따라 무거운 부품이나 완제품을 들고 옮기는 일이 있을 수 있어.
(자동차 부품 같은 게 핸드폰 부품보다 무겁겠지?)
교대 근무: 네가 보는 자리는 주 5일이라 다행이지만, 많은 생산직이 밤낮 바뀌는 교대 근무를 해서 생활 리듬이 깨지고 피로가 쌓이기도 해.
단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몸이 힘든 것 외에,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에서 오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나 지루함을 느끼는 사람들도 있어.
힘든 점만 있는 건 아니야! 생산직만의 장점도 분명 있지.
비교적 안정적인 수입: 특히 규모가 있는 회사 생산직은 연봉이나 복지가 괜찮은 경우가 많아.
네가 보는 월 300 초반에 주 5일이면 괜찮은 조건으로 보이네!
업무와 개인 생활 분리: 사무직처럼 퇴근 후에도 업무 연락을 받거나 일을 가져가서 하는 경우가 비교적 적어서, 일과 개인 생활의 경계가 명확한 편이야.
초과 근무 수당: 야근이나 특근이 있으면 수당이 붙어서 월급이 더 늘어나기도 해.
네가 보고 있는 그 생산직 자리가 어떤 곳인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보는 게 중요해!
어떤 제품을 만드는 회사야? 가볍고 작은 부품인지, 아니면 크고 무거운 제품인지에 따라 몸 쓰는 정도가 많이 다를 거야.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게 될까? 서서 하는 일인지, 앉아서 하는 일인지, 계속 무언가를 들어야 하는지, 아니면 기계를 조작하는 일인지 등등.
근무 환경은 어때? 공장이 깨끗하고 쾌적한지, 소음이나 먼지가 심하지는 않은지 등도 중요해.
가능하다면 현직자나 퇴직자 후기를 찾아봐! 블라인드 앱이나 잡코리아 같은 곳에서 회사 이름을 검색해서 실제 일하는 사람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게 제일 도움이 될 거야.
결혼도 앞두고 있으니, 여자친구랑 같이 충분히 이야기 나눠보고 결정하는 게 좋겠다. 월 300 초반이라는 금액적인 안정감과 몸의 건강,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까지 다 고려해서 네게 가장 맞는 선택을 하길 바라!
어떤 선택을 하든 네 앞날을 응원할게! 파이팅!